1. 대외 여건
- 세계경제 회복세가 둔화되고 높은 물가 상승세 지속 전망
- 금년들어 에너지, 곡물가격 급등에 수요 회복이 더해져 주요국 물가 상승률은 30~40년만에 최고 수준 기록 중
2. 경제 성장
- 민간소비는 회복세를 이어가나, 대외여건이 크게 악화되어 연간 2.6% 성장 예상
- 글로벌 성장, 교역 둔화 및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수출 증가세가 조정을 받고, 투자 회복 속도도 완만할 전망
- 건설투자는 글로벌 공급 차질에 따른 건설자재 가격 상승, 안전관리 강화 영향으로 부진한 가운데 최근 소폭 개선
향후 공급 차질 해소 여부가 관건이나, 불확실성이 큰 상황
- 수출은 양호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으나, 하반기에는 기저영향, 댜외여건 악화 등으로 증가세 조절 예상
미국, 중국 등 주요 수출국 성장세 약화, 공급 차질에 따른 교역 둔화 등이 제약 요인으로 작용 예상
3. 고용
- 2022년 취업자 수는 60만명 수준 증가 전망
- 고용률(15~65세)이 큰 폭 상승하고, 실업률은 하락 전망
- 취업자 수 증가로 고용률(15~65세)은 21년 보다 1.5%P 상승한 68.0%, 실업률은 21년 대비 하락한 3.1% 예상
4. 소비자 물가
- 공급 및 수요 상방압력 확대료 22년 4.7% 상승 전망
- 국제 원자재가격 급등 등 해외발 공급측 요인에 수요 회복이 더해져 높은 물가 상승세 지속
- 국제 원자재가격 오름세와 국내 소비 회복세가 이어지며, 당분간 높은 수준의 물가 상승세 지속 전망
'경제정보모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새정부 경제정책방향 발표 1편 : 민생 안정 (0) | 2022.06.19 |
---|---|
청년도전지원사업 소개 및 신청 방법 (0) | 2022.06.15 |
햄버거집, 와인, 미래소득, 서울인구 (0) | 2022.06.14 |
댓글